본문 바로가기
문학이야기

[용인 문학순례길을 걷다] 다시, 용인 문학순례길을 위한 제언

by 안영선 2013. 1. 14.

 

다시, 용인 문학순례길을 위한 제언

김종경의 용인이야기

 

20130104() 20:45:55 김종경 iyongin@nate.com

 

용인신문이 용인문학에 실렸던 용인 문학순례길을 가다를 재정리해 게재했다.용인문학19~20호까지 소개했던 용인 문학순례길’ 1~4코스 중 3~4코스를 지난해에 이어 소개한 것이다.

 

다음의 내용은 필자가용인문학에 썼던 제언의 글 중 일부다. 용인문학회가 진행했던 용인문학 순례길 답사 중 가장 놀라웠던 사실은 최남선 묘역의 발견이었다. 한국 최초의 현대시로 평가되는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쓰고, 3·1운동 때는 독립선언문을 기초했던 육당 최남선(1890.4.26~1957.10.10)’. 용인지역에서는 용인문학용인신문을 통해 처음 소개된 셈이다.

 

이 묘역에는 최남선이 민족대표로 기초한 독립선언문전문이 새겨진 비()와 둘째 아들 한웅(漢雄)이 짓고, 일중 김충현이 쓴 작은 추모비(197812월 세움)가 세워져 있었다. 최남선이 잠들어 있는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 일원의 천주교 서울대교구 용인공원묘원엔 최근까지도 김수환 추기경소설가 박완서가 안장돼 화제가 되기도 했다. 모란이 피기까지는을 쓴 시인 김영랑(1903.1.16~1950. 9.29)을 비롯해 수필가이자 번역가인 전혜린(1934.1.1~1965.1. 10)과 소설가 김소진(1963.12.3~1997.4.22)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근·현대 문인들이 잠들어 있음이 확인됐다.

 

인근 모현면 초부리 용인공원에서는 나그네란 시로 유명한 박목월(1916.1.6~1978.3.24)을 비롯한 국어학자 양주동, 소설가 이범선, 아동문학가 이원수와 김수남 등의 묘소가 있었다. 반면, 처음엔 가볍게 지나가려 했던 3~4코스에서도 이외로 걸출한 인물들이 많았다.

 

20호에 소개되는 용인 문학순례길 3~4코스는 개혁과 변혁으로 새로운 세상을 꿈꾸는 길금강의 원류인 물레방아를 찾아가는 길이라는 주제까지 정했다.

 

양지면 일대에는 조선시대의 위대한 시인 읍취헌 박은(1479~ 1504)을 시작으로 일제 강점기에 노동운동가와 독립운동가로 투쟁의 삶을 산 카프의 맹장 안병춘이 있다. 또한 현대의 생존 작가로 양지 출생의 소설가 안재성과 천명관에 이르기까지 흥미진진한 내용들이 많다.

 

원삼면 맹리에는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 일가의 묘역이 있고, 수지구 죽전동 단국대학교 캠퍼스에는 신동엽과 김용호 시인의 시비가 있다. 이밖에도 포은 정몽주, 약천 남구만, 십청헌 김세필 등은 오래전부터 종중에서 기리는 대표적인 지역 인물로 부각되었다.

 

안타까운 것은 이렇게 수많은 문학 콘텐츠 유산이 용인지역에 산재되어 있음에도 안내 표지판은커녕 문헌 자료 하나 제대로 없다는 것이다. 솔직히 이번 답사팀조차 묘역 등의 흔적을 찾기가 매우 힘들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