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 ‘문학의오늘 신인문학상’ 당선자 발표
시 부문 안영선, 소설 부문 김산아 … 작가로 첫걸음
상금 1500만원 … 윤후명 등 심사위원 “진정성 있는 삶과 문학으로”
『문학의오늘』 가을호 서두는 본지가 의욕을 가지고 추진한 제1회 ‘문학의오늘 신인문학상’ 당선자들이 연다. 시 부문 당선자는 안영선 씨. 「수목장」 외 5편의 시를 응모했다. 안 씨의 작품은 심사위원들(이경철·유성호)로부터 “특정 유행 담론을 추수하지 않고 스스로의 경험적 구체성에 정성을 들이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안영선 씨는 당선소감을 통해 ‘버거운 시의 무게가 즐거운 일상 속에서 공존 공생할 수 있었으면 한다’는 바람을 전했다.
소설 부문 당선자는 오랜 시간의 습작과정을 통해 탄탄한 문장과 치밀한 구성력을 보여준 김산아 씨. 당선작은 「삐삐의 상자」다. 심사위원들(윤후명·방민호·이평재·김윤영)은 김 씨의 단편이 “생명에 대한 그로테스크한 억압기제를 갖춘 현대성에 대한 성찰을 행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산아 씨는 문학과는 다소 동떨어진 학문으로 보이는 물리학(서강대학교)을 전공한 독특한 이력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김 씨는 “내가 선 자리에서 나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보고 싶다”는 당당한 의지를 표명했다.
두 당선자에게는 각각 500만원(시 부문)과 1000만원(소설 부문)의 상금이 주어진다. 시상식 일정 등은 추후 공지될 예정이다.
특집 1 - 작가들은 SNS를 어떻게 활용할까?
특집 2 - 한국의 장편소설, 어디로 가고 있나
특집 3 - 신작 『28』로 돌아온 작가 정유정을 만나다
『문학의오늘』 가을호의 주요한 특집은 3가지. 먼저 30~50대 다양한 연령층의 작가들에게 ‘당신에게 스마트폰과 SNS는 어떤 의미인가’를 물었다. 신인 소설가 조수경에서부터 중진 시인 이재무까지 6명의 문인들이 이에 관한 답변을 보내왔다. 그들의 글을 통해 작가들이 인터넷시대를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단편적으로나마 들여다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장편소설의 현재를 진단하는 기획으로 마련된 ‘한국 장편소설, 어디로 가고 있나?’에는 모두 3명의 필자가 참여했다. 문학평론가 최유찬과 정여울, 정주아가 바로 그들. 연세대 최유찬 교수는 ‘왜 다시 장편소설에 주목하는가’라는 제목으로 특집의 총론을 정리했고, 정여울 씨는 조정래와 김영하, 정이현, 정유정의 장편을 세밀하게 분석함으로써 ‘한국 장편소설’의 현재를 진단하고, 미래를 전망한다. 정주아 씨는 영화화된 일본 장편소설의 사례를 분석해 이를 한국적 상황과 비교하는 글을 실었다.
신작 장편 『28』을 발표하며, 다시 한 번 독자들에게 주목받고 있는 작가 정유정. 동료 소설가 이명랑 씨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정유정 문학과 삶의 알맹이를 가감 없이 추려냈다. 문학평론가 김동식 씨는 ‘폭력 · 고기 · 권력’이라는 3개의 키워드로 『28』을 분석하는 평문을 실었다. 정유정 씨가 직접 쓴 내밀한 자기고백 「이야기꾼의 숙명이란 방화범과 같은 것」도 특집의 한 축을 이룬다.
최영미의 ‘토닉 두세르’ 연재 2회
영화 『만추』의 감독 김태용 인터뷰
원로소설가 현기영의 ‘「순이 삼촌」, 이렇게 썼다’
앞서 언급된 것들 외에도 『문학의오늘』 가을호엔 다양한 읽을거리가 담겼다. 최영미 장편소설 ‘토닉 두세르’는 연재 2회를 맞아 더욱 흥미진진한 이야기 전개를 보인다. 시인이자 영화배우인 백학기 씨는 현빈과 탕웨이가 주연을 맡은 영화 『만추』의 감독 김태용을 인터뷰했다. 김 감독이 들려주는 영화와 삶에 대한 이야기가 드라마틱하고 이채롭다.
원로작가 현기영은 제주 4·3항쟁을 정면에서 다룬 문제작 「순이 삼촌」이 어떤 과정을 통해 잉태되고, 세상에 나오게 됐는지를 담담하게 들려준다. 그 작품을 통해 자신이 겪은 고초까지 숨기지 않는다. ‘이 작품 이렇게 썼다’ 코너를 통해서다. 일흔을 넘긴 소설가의 목소리엔 진실과 진정성이 담겨 있어 읽은 사람들에게 크고 깊은 울림을 준다. ‘새로운 시’ 코너에서는 오탁번과 정호승을 비롯한 17인 시인의 신작 시를 만날 수 있다. 화제의 책들을 모아 정리한 ‘이것이 문제작이다’와 <문화일보> 문학담당 김영번 기자가 쓴 ‘왜 하루키에만 열광하세요?’ 역시 빼놓을 수 없는 읽을거리다.
'문학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인문학회 시창작반,김명인 시인 특강 (0) | 2013.10.14 |
---|---|
제1회 문학의 오늘 신인상 - 수목장 외 5편(안영선) (0) | 2013.09.20 |
용인문학회 시창작반 개강식 (0) | 2013.07.16 |
용인문학 21호 발간 (0) | 2013.07.16 |
[스크랩] [2013 문화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정지우 (0) | 201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