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학이야기

[스크랩] 박후기 회원 시집 기사 모음

by 안영선 2009. 8. 31.

[용인신문] 새책 | 박후기 시인 두 번째 시집

‘내 귀는 거짓말을 사랑한다’

 

 2009-08-31 김종경기자 iyongin@nate.com 


2003년 ‘작가세계’를 통해 등단한 박후기 시인이 두 번째 시집 <내 귀는 거짓말을 사랑한다>(창비)를 냈다. 2006년 첫 시집 <종이는 나무 유전자를 갖고 있다>를 낸지 3년만이다. 첫 시집으로 신동엽 창작상을 받은 박 시인은 두 번째 시집에서 처연했던 가족사와 불편부당한 현실, 그리고 내면에 깔려있는 사랑이야기까지 절제된 시어로 담담하게 노래하고 있다. 그는 거친 듯하면서도 “묵정밭의 해바라기가 종의 기원으로부터 몇 번째 씨앗의 껍질을 깨고 나온 꽃인지”를 궁금해하는 천성적인 시인의 유전자를 갖고 있다.

두 번째 시집은 ‘가난한 아버지와 기지촌의 젖은 풍경들, 그리고 사춘기의 우울과 불우했던 청년시절을 묘사’했던 첫 시집보다 서정성이 강화됐다는 평을 받고 있다. 그럼에도 혈육과 가족에 집착하는 시인은 ‘비천한 삶의 토대를 부정도 긍정도’ 하지 않는다.

“지도 깊숙한 곳, / 마음 가장 깊은 곳에 / 미산이 있다 / 그곳은 강원도의 내면(內面), / 미월(未月)의 사람들이 / 검은 쌀로 밥을 짓고 / 물살에 떠내려가는 달빛이 / 서어나무 소매를 적시는 곳 / 나는 갈 곳 몰라 / 불 꺼진 민박에 방을 얻고, / 젊은 내외는 버릇없는 개를 타이르며 / 일찌감치 잠자리에 든다 / 멍든 개가 물고 간 신발을 찾아 / 어둠속을 뒤지는 밤, / 미산에서는 / 좁은 개집에서도 / 으르렁거리며 / 푸른 별이 빛난다”
시집 첫 번째 시 「미산」 전문이다. 시인은 그동안 강한 이미지의 리얼리티를 붙잡고 살아온 것 같지만, 그의 천성은 동물성보다 식물성이 강하다. 그는 서서히 강원도의 내면을 닮은 자신을 보여주고 있다.

문학평론가 엄경희씨는 “박후기의 시세계는 관념도 상상도 아닌 바로 삶 속에서 확인한 경험들의 소산”이라며 “그는 자신의 근원적 내력에 충실한 언어를 통해 삶의 비애와 진실을 드러내고자 무너질 것 같은 실존성 앞에서 사랑을 열망하고 절망한다”고 말한다.

“생의 어느 지점에서 다시 / 만나게 되더라도 당신은 / 날 알아볼 수 없으리라 / 늙고 지친 사랑 / 이 빠진 턱 우물거리며 / 폐지 같은 기억들 / 차곡차곡 저녁 살강에 / 모으고 있을 것이다” -「사랑의 물리학 - 상대성원리」

정호승 시인은 “사물과 현상을 새롭게 바라볼 줄 아는 진지하고 신선한 시인의 눈이 있어 새롭다”며 “한국 전통시의 본질을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새로움의 향기를 내뿜는 그의 시는 분명 한국 현대시의 새로움의 향기”라고 말했다. 창비. 124쪽. 7000원.

김종경기자 iyongin@nate.com 

 

 

[한국일보]

힘없는 자, 아름답지만 입이 없는 꽃들…

박후기 두번째 시집 '내 귀는 거짓말을 사랑한다'

 

 

아흔아홉 마리의 양을 가진 자가 나머지 한 마리의 양마저 빼앗는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는 약육강식의 시대. 한 마리의 양조차 가지지 못한 이들의 삶을 들여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기지촌에서 보낸 유년시절의 기억과 하층민들의 신산한 삶을 중첩시키며 '비루하지 않은 가난의 시 세계'를 구축해왔던 박후기(41)씨는 두번째 시집 <내 귀는 거짓말을 사랑한다>(창비 발행)에서 밀려난 자들에 대한 연민의 시선을 거두지 않는다.

눈 내리는 밤 지하철역의 노숙자('자반 고등어'), 기타 공장의 해고 노동자('6번 현관'), 단속에 걸릴까 숨 죽여 국제전화를 돌리는 외국인노동자들('불법체류자들') 같은 이들을 시인은 그냥 지나칠 수가 없다.

이같이 가장 힘없는 자들에 대한 시인의 관찰은, 더없이 아름답지만 입이 없는 존재_꽃 의 이미지에 도움을 받는다. 망루 농성을 벌이는 용산 재개발지구의 철거민들의 모습은 '버려진 꽃들이 생사의 경계 위에서 목을 길게 빼고 망을 본다. 가끔, 발을 헛디딘 꽃잎이 난간 아래로 추락하기도 한다'('난간에 대하여'에서)는 시구로 형상화된다.

취직에 실패한 어느 중년 실업자의 허청거리는 귀갓길도 '떨어진 꽃잎이 제 그늘을 밟고 간다'('실업자')로, 어느 가난한 가장의 모습은 '일곱 식구 부양하는 아버지/ 피곤한 얼굴로 돌아와/ 밥도 안 먹고/ 수련처럼/ 까칠한 입 벌린 채/ 코 골며 주무신다'('괄호')로, 각각 꽃잎과 수련으로 묘사된다.

사회 중심부에서 밀려난 이들에 대한 관심을 식물적 상상력과 결합시킨 시들이 현실 문제에 관심을 놓지 않는 박후기 시세계의 중요한 풍경이라면, 찬연했지만 대개 이별로 끝난 사랑 뒤끝의 쓸쓸한 마음자리를 노래한 연애시편들도 잔잔한 울림을 남긴다.

'산처럼/ 사랑도 오르는 일보다 내리막을 더/ 조심해야 한다는 것을, 죽은 나무들 사이로/ 당신이 떠난 후 깨닫는다/ 엎질러진 물처럼/ 사랑은 발 아래 스며든다'('제석봉에서 이별하다'에서). 문학평론가 엄경희씨는 시집 해설에서 "열망하는 존재로 한 순간 비약해서 갈 수 없는 이 뒤처짐과 쓸쓸함이 박후기 시의 리얼리티이며 진실성"이라고 말했다.

 

이왕구 기자(2009/08/24 03:06:14)

 

 

출처 : 용인문학회
글쓴이 : 안영선 원글보기
메모 :